삼성 스탠드 에어컨 - 새 에어컨에서 냄새가 나요.
1. 에어컨 구입 초기에는 새 제품 특유의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2. 이는 에어컨 제조 및 포장과정에서 생성된 냄새로 구입 후 2~3일 정도는 에어컨 작동 시 환기를 자주 시켜 주시면 냄새 성분이 점점 사라집니다.
3. 에어컨 근처 창문을 열고, 냉방모드를 2시간 정도 가동하고, 청정모드로 30분 정도 운전해 주시면 냄새를 더욱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4. 늘 깨끗하고 상쾌한 에어컨 바람을 유지하기 위해서 에어컨 운전 종료 시 자동청소건조 기능을 꼭 실행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이는 냉방운전 후 실내기 내부의 수분을 건조시켜서 냄새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삼성 스탠드 에어컨 - 에어컨 사용전 점검사항을 알고 싶어요.
1. 실내기 필터관리 및 실내외기 주변 장애물 치우기
1) 커튼이 에어컨 실내기 흡입구를 가리지 않도록 한 뒤, PM1.0 (PM2.5) 필터 시스템은 깨끗한 물에 담가 중성세제와 함께 세척해 주시고, 극세필터(먼지거름필터)는 물로 가볍게 세척해 주세요.
2) 교체 필터인 탈취필터는 교체시기가 되면 교체해 주세요.
3) 실외기에 발생하는 열이 잘 방출될 수 있도록 실외기 근처의 물건들을 치워줍니다.
4) 환기창이 있는 경우 개방하여 주세요.
5) 커튼, 먼지 등으로 인한 흡입구 막힘과 실외기의 환기를 방해하는 요소들은 냉방이 약해지거나 심한 경우 제품이 동작을 멈출 수 있습니다.
2. 배수호스 상태 확인하기
1) 에어컨이 작동하면 실내 습기가 물방울로 바뀌어 배수 호스로 배출됩니다.
2) 이 때 배수 호스가 눌려 있거나 꺾여 있다면 실내누수의 원인이 되므로 자연배수가 잘 되도록 정리해 줍니다.
3. 에어컨 전원 확인하기
1) 실내기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주시고
2) 별도 실외기의 전원플러그가 있는 스탠드 제품의 경우, 실외기 전원플러그도 콘센트에 꽂아주세요.
3) 전원 플러그가 잘 연결되어 있는지, 배전반 차단기는 내려가지 않았는지 확인해 보세요.
4) 실외기에 별도의 전원이 연결되는 제품의 경우, 실외기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C101 또는 E101이 표시됩니다.
5) 실외기 전원플러그 및 콘센트에 전기가 들어오는지 다른 전자제품을 꽂아보세요.
6) 에어컨은 전력소모가 높은 제품으로 멀티탭이나 문어발식 연결은 허용 전력을 넘어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청정운전으로 냄새 배출하기
1) 창문을 열고 에어컨의 청정모드를 이용해 내부에 밴 냄새를 배출시켜 주세요.
2) 청정모드는 실외기가 동작하지 않는 모드이므로 선풍기 두 세대 정도의 전력만 소모합니다.
5. 냉방운전으로 냉기 상태 확인하기
1) 에어컨의 희망온도를 18도로 설정하거나 스피드 운전을 10분이상 동작하여 냉기가 잘 나오는지 확인해 줍니다.
2) 이 때 실외기에 연결된 굵은 배관에 물방울이 잘 맺히거나, 손으로 만져보아 차갑게 느껴진다면 정상 동작하는 것입니다.
삼성 스탠드 에어컨 - 음식 냄새가 납니다.
냄새 발생 요인
냄새가 많이 날 수 있는 음식을 조리하실 때는 환기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처음에는 냄새가 나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제품 내부에 밴 냄새가 나오게 됩니다.
먼지거름 필터를 물청소 후 완전히 건조해서 끼워주시고, 송풍(또는 청정)운전을 해 주세요.
먼지필터 청소, 송풍(or 스마트 냉방세척)운전
냄새가 많이 날 수 있는 음식을 조리하실 때는 환기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처음에는 냄새가 나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제품 내부에 밴 냄새가 나오게 됩니다.
먼지거름필터를 물청소 후 완전히 건조해서 끼워주시고, 송풍(또는 청정)운전을 해 주세요.
먼지거름필터에 먼지가 많은 경우 발생될 수 있습니다. 먼지거름필터는 2주에 한 번 정도 청소(물청소 또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먼지 흡입)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매한지 2년 경과된 제품의 경우) 또한 전문필터가 들어 있는 모델이라면, 필터 교체시기가 지나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어서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필터청소를 하고 난 후,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을 사용해 주세요.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은 제품 내부 열교환기(냉각판)에 수분을 만들어 자동 세척을 한 후 송풍 모드로 동작하여 내부를 건조하면서 배어있는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입니다.
2018년도 이후 제품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마트 냉방세척 기능을 사용 해주세요.
ㆍ 2018년~2019년 7월 이전(무풍갤러리): 2시간 동작 후 종료 (제습 1시간+송풍 1시간)
→ 무풍클래식&무풍슬림: 2018년~2019년 9월 이전 제품
ㆍ 2019년 7월 이후: 온습도에 따라 동결(최대 2회) → 해동 → 세정 동작 후 종료 (50분~80분)
→ 무풍클래식&무풍슬림: 2019년 9월 이후 제품
2018년도 이전 제품은 환기상태에서 냉방운전을 2시간 동작 후 청정(또는 송풍) 운전을 30분 동작 시켜 주세요.
■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 동작 방법 (제품이 꺼져 있는 상태)
1. 마이크 버튼이 있는 모델: 마이크+무풍 5초 이상 누름
2. 마이크 버튼이 없는 모델: 모드+무풍 5초 이상 누름
배수호스 위치 확인
실내기 팬이 돌면서 냄새를 빨아 들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배수호스가 하수구(또는 화장실)에 바로 연결되어 있다면 빼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외부로 나가 있는 배수호스가 하수구 쪽이나 냄새가 나는 곳에 있을 경우, 냄새가 배수호스를 타고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혹, 실내기 주변에 휴지통, 걸레그릇 등의 냄새를 유발 할만한 것이 있는 경우에도 실내기 팬이 돌면서 그 냄새를 빨아들여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환기 상태에서 송풍 운전
에어컨 사용 중 나온 물기가 제품 내부에 남아있으면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냄새는 송풍(or 청정)운전을 많이 해 주시면 냄새가 배출됩니다.
평소에 사용하시고 끄기전에 1~20분이라도 송풍을 해 주시고 끄면 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2009년 이후 모델: ‘자동청소’기능이 있는 경우 사용 권장 드립니다)
※ 자동청소 기능 : 사용 중 리모컨의 [청소] 버튼을 눌러 놓으면, 에어컨을 끄고 나서 일정 시간 송풍 운전 후 에어컨이 꺼지는 기능입니다.
참고사항
■ 전문세척/일반세척 차이점
전문세척은 '고압세척기나 스팀세척기, 열풍건조기' 등 전문세척 장비를 이용해서 에어컨 주요부품의 틈새까지 먼지나 이물, 오염물을 씻어 세척하는 것을 말하고,
일반세척은 에어컨 엔지니어가 '친환경 세척용 스프레이'를 이용해서 주요 부위의 먼지나 이물을 닦아내는 세척을 말합니다.
비용면에서는 아무래도 전문장비를 사용하는 전문세척 비용이 더 높습니다.
전문세척이 필요한 경우 1588-3366번으로 연락 후 상담사를 통해 안내를 받으시고, 일반세척이 필요한 경우 출장서비스 예약 메뉴를 통해 엔지니어 방문 신청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삼성전자서비스
많이하는 질문: h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category=10469&product=10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