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에어컨 - 에어컨 냄새가 나요

samsung 홈멀티에어컨 - 에어컨 냄새가 나요
먼지필터 청소, 송풍(또는 스마트 냉방 세척)운전

먼지거름필터에 먼지가 많은 경우 발생될 수 있습니다. 먼지거름필터는 2주에 한 번 정도 청소(물청소 또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먼지 흡입)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매한지 2년 경과된 제품의 경우) 또한 전문필터가 들어 있는 모델이라면, 필터 교체시기가 지나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어서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1.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시원한 공기로 바꾼 뒤 다시 배출하는 공기순환방식입니다. 때문에 오랜 기간 밀폐된 공간에서 사용할 경우 실내의 냄새가 필터와 열교환기에 배어 에어컨 가동 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2. 주기적으로 극세필터(먼지거름필터)와 PM1.0 (또는 e-HEPA)필터 시스템을 제품에서 분리하여 물로 세척한 후 그늘에서 충분히 말려주시면 필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3. 만약 탈취필터가 냄새로 오염된 경우는 세척하여 재사용 할 수 없으니 새 탈취필터로 교체하여 사용해 주세요.



필터청소를 하고 난 후,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을 사용해 주세요.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은 제품 내부 열교환기(냉각판)에 수분을 만들어 자동 세척을 한 후 송풍 모드로 동작하여 내부를 건조하면서 배어있는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입니다.



2018년도 이후 제품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마트 냉방세척 기능을 사용 해주세요.

ㆍ 2018년~2019년 7월 이전(무풍갤러리): 2시간 동작 후 종료 (제습 1시간+송풍 1시간)

   → 무풍클래식&무풍슬림: 2018년~2019년 9월 이전 제품

ㆍ 2019년 7월 이후: 온습도에 따라 동결(최대 2회) → 해동 → 세정 동작 후 종료 (50분~80분)

   → 무풍클래식&무풍슬림: 2019년 9월 이후 제품



2018년도 이전 제품은 환기상태에서 냉방운전을 2시간 동작 후 청정(또는 송풍) 운전을 30분 동작 시켜 주세요.

■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 동작 방법 (제품이 꺼져 있는 상태)
 1. 마이크 버튼이 있는 모델: 마이크+무풍 5초 이상 누름
2. 마이크 버튼이 없는 모델: 모드+무풍 5초 이상 누름



 ※ 스마트 냉방세척 기능은 2018년 생산분부터 적용되었습니다.
1. 거실과 주방의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고 에어컨 전원을 꺼 주세요.(습한 공기 유입시 세척능력이 향상됩니다)
 2. 리모컨의 마이크+무풍 버튼을 동시에 5초간 눌러주세요.(비 음성인식 리모컨의 경우 모드+무풍 버튼을 눌러주세요)
 3. 스마트 냉방세척 기능을 실행해 주세요.(동작시간 50~120분)
 4. 그럼 똑똑한 에어컨이 자동으로 에어컨 내부를 얼리고 녹이는 과정을 반복해 에어컨 내부에 쌓여 있던 먼지와 냄새를 마치 물청소하듯 자동으로 청소해 깨끗한 바람을 만들어 줄 것입니다.

 동결 세척은 2020년 모델부터 적용되었습니다.(동결 세척 중에는 온도차에 의해 패널에서 "뚝" 소음이 나거나 이슬이 맺힐 수 있습니다)
※ 스마트 냉방세척 실행 후 실내 열교환기의 흡착된 먼지 등 오염물은 동결-해동-세정 과정을 거쳐 응축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 됩니다.
※ 에어컨 속까지 스마트하게 청소해 주는 스마트 냉방세척 기능으로 건강하고 시원한 여름 보내시기 바랍니다.


배수호스 위치 확인
 실내기 팬이 돌면서 냄새를 빨아 들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배수호스가 하수구(또는 화장실)에 바로 연결되어 있다면 빼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외부로 나가 있는 배수호스가 하수구 쪽이나 냄새가 나는 곳에 있을 경우, 냄새가 배수호스를 타고 올라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혹, 실내기 주변에 휴지통, 걸레그릇 등의 냄새를 유발 할만한 것이 있는 경우에도 실내기 팬이 돌면서 그 냄새를 빨아들여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환기 상태에서 송풍 운전
 에어컨 사용 중 나온 물기가 제품 내부에 남아 있으면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냄새는 송풍(or 청정)운전을 많이 해 주시면 냄새가 배출됩니다.


평소에 사용하시고 끄기전에 1~20분이라도 송풍을 해 주시고 끄면 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2009년 이후 모델: ‘자동청소’기능이 있는 경우 사용 권장 드립니다)


※ 자동청소 기능 : 사용 중 리모컨의 [청소] 버튼을 눌러 놓으면, 에어컨을 끄고 나서 일정 시간 송풍 운전 후 에어컨이 꺼지는 기능입니다.


1.  에어컨 근처 창문을 열고 냉방모드를 2시간 정도 가동한 다음 청정모드로 30분 정도 운전해 주시면 냄새를 더욱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2. 늘 깨끗하고 상쾌한 에어컨 바람을 유지하기 위해 에어컨 종료 후 자동청소 건조 기능이 작동합니다.
 3. 자동청소 건조 기능이 종료될 때까지 전원을 강제로 끄거나 전원코드를 뽑지 마세요. 이는 냉방 운전 후 실내기 내부의 수분을 건조 시켜서 냄새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4. 음식을 조리하거나 방향제(디퓨저) 또는 향초를 사용하는 경우 운전중인 에어컨에 냄새가 흡착될 수 있습니다.
 5. 에어컨 운전을 종료하셨다가 실내 환기 후 사용하시면 냄새발생을 줄일 수 있으니 꼭 기억해 주세요.


참고사항
  ■  전문세척/일반세척 차이점
전문세척은 '고압세척기나 스팀세척기, 열풍건조기' 등 전문세척 장비를 이용해서 에어컨 주요부품의 틈새까지 먼지나 이물, 오염물을 씻어 세척하는 것을 말하고,

일반세척은 에어컨 엔지니어가 '친환경 세척용 스프레이'를 이용해서 주요 부위의 먼지나 이물을 닦아내는 세척을 말합니다.

비용면에서는 아무래도 전문장비를 사용하는 전문세척 비용이 더 높습니다.


전문세척이 필요한 경우 ☎1588-4190번으로 연락 후 상담사를 통해 안내를 받으시고, 일반세척이 필요한 경우 출장서비스 예약 메뉴를 통해 엔지니어 방문 신청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samsung 홈멀티에어컨 - 실내기 누수 / 실내기 바닥에 물이 생깁니다.

예상 원인
 배수호스 높음, 호스말림, 호스꺾임, 필터청소가 안된 경우 등이 누수의 원인이 됩니다.

- 배수 호스가 높은 곳에 걸려 있지는 않는지 확인
- 배수 호스가 꺽여 있거나 끝이 물에 잠겨 있지는 않는지 확인


조치 방법
먼지거름필터 청소 상태 및 습도로 인한 가능성 안내
 먼지거름필터에 먼지가 많으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먼지거름필터를 청소 해 주시고 바람날개를 회전시켜 주세요.

(바람 날개를 장시간 고정 상태로 운전하게 되면 이슬이 맺힐 수 있음)

또한 습도가 높은 날 발생될 수 있으니, 희망온도를 실내온도와 차이를 줄여 주시고 제습운전을 해주세요.

추가로, 선풍기를 같이 작동시켜 실내 공기가 빠른 대류가 일어나도록 해 주셔도 좋겠습니다.


배수호스 위치 확인
 배수호스가 일부 구간이 윗 방향으로 되어 있거나, 눌려있거나 꺽여 있으면 누수의 원인이 되므로 자연배수가 잘 되도록 정리해 줍니다.

이 때는 배수호스가 아래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시면 됩니다 .

 1. 먼저 냉방 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배수 호스가 아래 방향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배수 호스의 일부 구간이 위 방향으로 되어있는 경우 응축수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실내기 내부로 역류할 수 있습니다.
3. 이때는 배수호스가 아래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시면 역류 현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호스 상태 확인
 호스 끝 부분이 물에 잠겨 있거나 이물질에 의해서 막혀 있으면 자연배수가 되지 않아 물이 역류되어 누수 증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조치가 안될 경우 엔지니어에게 점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삼성전자서비스
스스로해결: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category=10469&product=10491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