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SUNG [홈멀티 에어컨] 냉방이 안되고 작동이 안됩니다.
예상원인
1. 에러가 발생된 경우(에러로 인한 냉방불)
2. 실외기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실내외기 컨트롤(통신) 케이블 이상, 실외기실 도어 미개방)
3. 기능선택이 잘못된 경우(냉방선택, 희망온도 낮게)
4. 냉매가 부족한 경우(에러도 없고, 실외기가 동작되는데 안됨)
5. 폭염으로 실외기가 열을 뿜어내지 못하는 경우(폭염일 때만 해당)
조치방법
실외기 전원코드 연결 확인
실외기의 전원코드(또는 차단기)가 연결되어 있어야 실외기가 가동되어 찬바람이 나옵니다.
실외기의 전원코드(또는 차단기)를 연결시켜 주세요.
※ 실외기에 전원이 들어가지 않으면 정상 동작을 못합니다. E1-01(C101) , C4-22 등 점검 표시가 발생합니다.
■ 2014년 이후는 벽걸이 전원코드선은 대부분 없습니다.(실외 전원 연결됨)
■ 거실 콘센트에 꽂은 실내기 코드선(회색) 1.5 ㎟, 실외기 코드선 2.5㎟, 대기전력 콘센트
■ 베란다 등, 콘센트에 꽂은 실외기 코드선(검정) 코드선 2.5㎟
■ 두꺼비집 에어컨 전용 차단기
멀티탭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멀티탭 스위치가 켜져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멀티탭 사용은 불가합니다만, 부득이하게 사용해야 할 경우 에어컨 전용 멀티탭을 사용해야 합니다.
※ 멀티탭 전선 굵기 : 2.5 SQ 이상 사용
또한, 멀티탭에는 개별 스위치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해당 스위치가 켜져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운전모드, 희망온도 확인
■ '냉방' 선택
청정(송풍) 운전은 실외기가 가동되지 않아 선풍기 같은 바람만 나옵니다. 리모컨의 [운전선택] 또는 [모드] 버튼을 눌러 ‘냉방’으로 변경해 주세요.
참고로 2014년 이후 모델은 [모드] 버튼, 그 이전 모델은 [운전선택] 버튼입니다. 단, ‘난방’ 기능이 없는 제품은 난방을 선택하더라도 제품에서 인식하지 않습니다.
■ 희망온도 낮게(18 ℃)
현재온도보다 희망온도를 2 ℃ 이상 낮게 설정해 주어야 실외기 동작됩니다. ‘냉방’ 선택 후 희망온도를 낮게 설정 해 주세요.
■ 바람세기는 세게~ (강풍, 터보풍)
바람세기를 강풍 또는 터보풍으로 선택해 주세요.(터보풍 > 강풍 > 약풍 > 미풍 > 자연풍)
선풍기를 같이 사용하시면 공기순환이 잘되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실외기는 몇 분 후에 동작됩니다. (바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실외기가 동작되어야 찬바람이 나옵니다. ‘냉방’ 선택, 희망온도를 낮게 조절 후 약 5분 정도 기다려 주세요.
먼지거름필터 청소
먼지 거름필터가 먼지로 막혀 있으면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 시원하지 않고 소음이 커집니다.
최소 2주에 한 번씩 먼지 거름필터를 청소해 주십시오.
실외기 주변 장애물 확인
실내기 흡입구가 커튼으로 막혀 있거나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있으면 실외기가 열을 뿜어내지 못하면서 냉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실외기 주변의 장애물을 제거해 주세요.
특히, 아파트의 경우 실외기 실(베란다)의 문이나 창문을 닫아 놓고 사용하면 냉방성능 저하 및 꺼지는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실외기 실 문(또는 베란다 문)을 활짝 열어 주세요.
■ 실외기실 문(루버)을 닫고 에어컨을 운전할 경우
①냉방약/냉방불 원인, ②자동꺼짐(실외기 과부하)원인, ③실외기 소음증가 원인이 됩니다.
■ 폭염인 경우
폭염으로 인해, 외부 온도가 높아 실외기에서 열방출이 잘 안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실외기 열이 식도록 햇빛가리개나 열교환기에 물을 뿌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스마트리셋 방법 (2012년 이후 출시 모델에 한함)
순간적인 노이즈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셋을 시켜보세요.
■ 연도별 리셋 방법
- 2012년 이후 모델 : 무선리모컨으로 스마트리셋 실시하고, 전원코드 재 삽입합니다.
※ 스마트리셋은 전원코드를 뺐다 다시 꽂는 것과 같은 조치 방법입니다.
- 2011년 이전 모델 : 전원코드를 재 삽입합니다.
1. 2012년 이후 모델, 스마트리셋 방법
- 2012년 모델 : 리모컨의 [확인/취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바람 V]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 2013년 모델 : 리모컨의 [확인/취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바람 V]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 2014~2015년 모델 : 리모컨의 [확인/취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바람 V]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 2016~2017년 모델 : 리모컨의 [확인]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무풍] 버튼과 [바람세기]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 2018년 (음성인식) 모델 : 리모컨의 [무풍] 버튼과 [모드]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 2018년 (일반) 모델 : 리모컨의 [무풍] 버튼과 [제습]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 2019년 (음성인식) 모델 : 리모컨의 [무풍] 버튼과 [청정]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 2019년 (일반) 모델 : 리모컨의 [무풍] 버튼과 [청정] 버튼을 동시에 5초이상 누릅니다.
2. 2011년 이전 모델, 전원 리셋 방법
전원 코드를 빼거나 누전차단기를 내린 후 약 1분 정도 후에 올려서 작동을 시켜 보세요.
※ 차단기는 신발장 위나 현관 등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차단기의 스위치를 내린후에 다시 올려보시고 만약 스위치가 덜렁거리거나 힘없이 떨어지는 증상이 있다면 차단기의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SAMSUNG [홈멀티 에어컨] 전원이 안꺼져요 자동청소 기능인지 알고 싶어요.
예상원인
자동청소 기능에 의한 경우도 있고, 제품 이상에 의한 경우도 있습니다.
조치방법
자동청소 기능 안내
자동청소 기능이 일정 시간 동작 후, 자동으로 꺼집니다.
(자동청소 기능은 제품이 꺼진 후 일정 시간 송풍 모드로 내부를 건조시킨 후 꺼지는 기능입니다)
자동청소 기능 동작 중, [운전/정지] 버튼을 누르면 제품이 다시 켜집니다. 청소 기능 중에 운전 정지를 누르면 전원이 꺼지는게 아니고 다시 켜는 것과 같습니다.
자동청소 기능은 에어컨을 껐을 때, 전원이 바로 꺼지지 않고 실내기 내부의 팬을 일정 시간 동작시켜서 내부의 물기를 건조시켜 주고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으로써 물기로 인한 냄새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기능입니다.
적극 사용을 권장 드리는 기능으로 안심하고 사용해 주세요. (냄새/곰팡이 발생 예방)
청소 기능 수행 중 바로 중단하려면 리모컨의 [청소] 기능을 해제시켜 주세요.
■ 자동청소 기능 설정 및 해제 방법
- 리모컨에 [청소] 버튼이 있는 경우, [청소] 버튼을 누릅니다.(설정/해제 동일 방법)
- 리모컨에 [청소] 버튼이 없는 경우, 리모컨의 [부가기능] 버튼을 누른 후 [◀] 또는 [▶] 버튼을 눌러, '청소'로 이동한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설정/해제 동일 방법)
(2018년 리모컨은 [부가기능] 버튼을 3초간 누릅니다)
1. 자동청소 기능은 에어컨이 꺼지고 나서 일정 시간 내부를 건조시키는 기능으로 냄새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기능입니다.
2. 자동청소 기능은 리모컨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3. 리모컨에 부가기능 버튼을 누른 후 좌우 버튼을 눌러 청소 표시까지 이동한 후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자동청소가 설정됩니다.
4. 자동청소 기능은 제품이 꺼진 후 일정 시간 송풍으로 동작하여 내부의 습기를 건조합니다.
5. 동작 상태는 백분율로 표시되며, 약 10분간 동작 후 자동으로 종료됩니다.
6. 청소기능 동작 중 제품을 켰다 끄게 되면 동작 시간이 초기화되어 다시 10분간 자동청소가 진행됩니다.
※ 제품 모델에 따라 리모컨 사양 및 설정은 차이가 있으니 모델에 해당하는 설명서를 참고바랍니다.
리모컨 작동 테스트 안내
1. 리모컨으로만 안되는 경우 (본체에서는 정상)
- 불량 → 리모컨 교체가 필요합니다.
- 정상 → 본체 수신부 점검이 필요합니다.
2. 본체 [운전/정지] 버튼만 안되는 경우(리모컨 사용은 정상)
- 버튼이 눌려 있는지 확인 후 이상 없다면 점검이 필요합니다.
본체 버튼으로 끄면 꺼지고 리모컨으로는 꺼지지 않는다면 먼저 리모컨을 점검해 봅니다.
혹시, 건전지가 방전된 경우 건전지를 교체해 주시고 해결되지 않는다면 리모컨 고장 유무를 직접 자가 점검할 수 있습니다.
휴대폰(또는 디지털카메라)에서 카메라 기능을 실행 후, 리모컨의 램프 부분을 카메라 렌즈 쪽에 비춘 상태에서 리모컨의 [운전/정지] 버튼을 눌러보세요.
불빛이 보인다면 리모컨은 정상입니다.(보이지 않는다면 리모컨 불량일 확률이 높습니다)
이때는 본체의 리모컨 수신부 점검이 필요하므로 엔지니어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리모컨 자가점검 방법
삼성 휴대폰이 아닌 경우 불빛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아이폰)
출처: 삼성전자 서비스
스스로 해결: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category=10469&product=10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