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에어컨] 공기청정해도 냄새가 안 없어집니다.

삼성 [홈멀티에어컨] 공기청정해도 냄새가 안 없어집니다.
냄새 예방 방법
 먼지거름필터에 먼지가 많은 경우 발생될 수 있는데요, 먼지거름필터는 2주에 한 번 정도 청소(물청소 또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먼지 흡입)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매한지 2년 경과된 제품의 경우) 또한 전문필터가 들어 있는 모델이라면, 필터 교체시기가 지나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어서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필터청소를 하고 난 후,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을 사용해 주세요.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은 제품 내부 열교환기(냉각판)에 수분을 만들어 자동 세척을 한 후 송풍 모드로 동작하여 내부를 건조하면서 배어있는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입니다.

2018년도 이후 제품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마트 냉방세척 기능을 사용 해주세요.
ㆍ 2018년~2019년 7월 이전(무풍갤러리): 2시간 동작 후 종료 (제습 1시간+송풍 1시간)

   → 무풍클래식&무풍슬림: 2018년~2019년 9월 이전 제품

ㆍ 2019년 7월 이후: 온습도에 따라 동결(최대 2회) → 해동 → 세정 동작 후 종료 (50분~80분)

   → 무풍클래식&무풍슬림: 2019년 9월 이후 제품


2018년도 이전 제품은 환기상태에서 냉방운전을 2시간 동작 후 청정(또는 송풍) 운전을 30분 동작 시켜 주세요.

 ■ 스마트 냉방 세척 기능 동작 방법 (제품이 꺼져 있는 상태)
 1. 마이크 버튼이 있는 모델: 마이크+무풍 5초 이상 누름
2. 마이크 버튼이 없는 모델: 모드+무풍 5초 이상 누름


환기 상태에서 송풍 운전
 에어컨 사용 중 나온 물기가 제품 내부에 남아있으면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냄새는 송풍(or 청정)운전을 많이 해 주시면 냄새가 배출됩니다.

평소에 사용하시고 끄기전에 1~20분이라도 송풍을 해 주시고 끄면 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2009년 이후 모델: ‘자동청소’기능이 있는 경우 사용 권장 드립니다)

※ 자동청소 기능: 사용 중 리모컨의 [청소] 버튼을 눌러 놓으면, 에어컨을 끄고 나서 일정 시간 송풍 운전 후 에어컨이 꺼지는 기능입니다.


전문 세척은 일반 세척 대비 시간과 비용이 더 발생됩니다.   
세척 비용은 에어컨 평수 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서비스 신청 시 안내 받아보시 바랍니다.





삼성 [홈멀티에어컨] 음식 냄새가 납니다.

사용 안내
냄새가 많이 날 수 있는 음식을 조리하실 때는 환기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처음에는 냄새가 나지 않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제품 내부에 밴 냄새가 나오게 됩니다.

먼지거름필터를 물청소 후 완전히 건조해서 끼워주시고, 송풍(또는 청정)운전을 해 주세요.

먼지거름필터에 먼지가 많은 경우 발생될 수 있는데요, 필터는 2주에 한번정도 청소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구매한지 2년 경과된 제품의 경우) 또한 전문필터가 들어 있는 모델이라면, 필터 교체시기가 지나서 발생되는 경우도 있어서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필터청소를 하고 난 후, 창문을 열어 환기가 되는 상태에서 송풍운전(또는 청정운전)을 몇~ 시간 정도 해 주시면, 제품 내부에 밴 냄새는 어느 정도 배출이 됩니다.



Q. 몇 시간이나 송풍운전을 해 주어야 하는지요?
A. 2~3시간, 3~4시간을 딱 정할 수는 없습니다.

   밴 냄새의 정도에 따라 수시간 또는 수일간을 해 주어야 해결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냉방을 사용하지 않는 아침저녁시간에 창문을 열고 송풍을 시켜주시면 됩니다.


Q. 그렇게 오래 틀면 전기세 많이 나오지 않나요?
A. 송풍(or 청정)운전은 실외기는 돌지 않고, 실내기만 동작되기 때문에 선풍기 한두대 정도의 전기(세)만 들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츨처: 삼성전자 서비스       스스로 해결: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category=10469&product=10491

다음 이전